3조 6천억원
글로벌 뷰티 시장의 종착역

초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안티에이징에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가장 주목받고 있는 제품은 ‘스킨부스터’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스킨부스터 시장은 연간 9.3%씩 성장해 2030년엔 21억달러(2조6623억원) 규모를 형성할 전망이다. 국내 스킨부스터 시장 규모는 600억원 안팎으로 추산된다.
스킨부스터, 필러와 보톡스 이어 피부 관리 분야 각광
스킨부스터는 기존 보톨리늄 톡신(보톡스)이나 필러(Filler)와는 기전이 다르다. 보톡스나 필러가 주로 물리적인 방법으로 피부의 주름을 개선한다면, 스킨부스터는 피부에 유효 성분을 주입해 수분과 영양성분을 공급하거나 콜라겐 재생을 유도해 피부 안쪽에서부터 개선을 돕는 방식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스킨부스터는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최근 미용 트렌드에 부합한다. 또 기존 시술과 경쟁하지 않고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것도 강점이다. 스킨부스터로 피부 상태를 근본적으로 개선한 다음, 필러나 보톡스로 피부에 즉각적인 효과를 낼 수 있어 에스테틱 시장에서 스킨부스터가 더 각광을 받고 있다.
부작용이 적은 것도 스킨부스터의 특징이다. 스킨부스터는 피부에 유효 성분을 전달하는 만큼 피부 자극이 상대적으로 적고, 안전성도 높다.

스킨부스터, 다양한 성분으로 소비자 접근
스킨부스터를 구성하는 성분은 직접적인 구조적 지지를 통해 피부 탄력을 높여주는 HA(히알루론산) 성분과 콜라겐 형성 등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성분으로 구분한다.
HA 성분의 스킨부스터는 과거 ‘물광주사’로 알려진 1세대 스킨부스터다. HA는 피부의 주요 탄력성분이자, 분자량의 1000배 이상 물을 함유할 수 있어 피부 보습에 많은 역할을 한다. 스킨부스터라는 용어를 만든 갈더마의 리스틸렌 스킨부스터, 美 FDA(식품의약국)로부터 ‘스킨부스터’로는 최초로 허가를 받은 앨러간의 ‘스킨바이브’가 대표적인 HA 스킨부스터다.
HA 이후에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성분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PDRN과 PN과 같은 DNA 성분이다. PDRN은 피부 재생 신호전달체인 A2 수용체를 자극해 염증 사이토카인을 억제하고, 표피성장인자(EGF) 등 각종 성장인자의 분비를 촉진시켜 세포 재생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PN은 PDRN보다 분자량이 더 크고 물 분자와 쉽게 결합하는 특징이 있어 볼륨을 충전하는 효과가 있다.
엑소좀과 니도겐도 피부 재생을 돕는 성분으로, 스킨부스터에 사용 중이다. 엑소좀은 30~200nm(나노미터, 1억 분의 1m) 크기의 생체 나노 입자로, 여러 유효 물질을 다른 세포로 전달한 정보 전달체 역할을 한다. 입자가 사람 피부의 모공에 비해 250~600분의 1 크기로, 유효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모공을 통해 피부진피층 안으로 세포의 활성인자들을 전달할 수 있다.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있어 피부염이나 여드름이 많은 사람에게 효과적이다.
니도겐은 피부 기저막(BMZ, Basement Membrane Zone)을 구성하는 핵심 단백질 중 하나다. 콜라겐을 비롯한 다른 단백질을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니도겐은 소량으로 많은 단백질을 묶어주는데, 니도겐이 줄어들면 더 많은 단백질에 영향을 미쳐 피부 탄력이 저하된다. 반대로 니도겐을 투여하면 피부 탄력과 재생력이 현저히 개선된다. 또 니도겐은 피부 세포를 자극해 콜라겐 생성을 유도한다. 차메디텍의 수출용 스킨부스터인 ‘셀터미 리바이브 NX’는 이러한 니도겐과 엑소좀을 함유한 제품이다.


<’셀터미 리바이브 NX’의 주요 성분>
스킨부스터, 美 FDA 승인받으며 시장 진출 본격화
해외 스킨부스터 시장은 2020년대 들어 고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국가가 미국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미국 FDA는 애브비의 자회사인 앨러간의 스킨부스터 ‘스킨바이브 바이 쥬비덤(SKINVIVE by JUVEDERM)’을 승인했으며, 같은 해 갈더마의 스컬트라(Sculptra®)도 일반인의 미용 목적에 사용하도록 승인을 했다.
이러한 FDA의 승인 이면에는 글로벌 미용의료 시장의 성장이 있다. 시장조사기관 프리시던스 리서치(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의료 스파 시장 규모는 2025년 252억 천만 달러로 계산되며 2034년에는 약 878억 6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부터 2034년까지 14.88%의 CAGR로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북미 의료 스파 시장 규모는 2024년 92억 2천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예측 기간 동안 14.89%의 CAGR로 확장되고 있다.
국내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차메디텍은 ‘셀터미 리바이브 NX’를 2023년 12월 제품 출시와 동시에 동남아시아 4개국에 수출 계약을 했다. 2024년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 지역에도 진출했다. 2025년 2분기에는 미국을 비롯한 북미와 중남미 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


<셀터미 리바이브 NX를 세계에 알리고 있는 차메디텍>